최승자의 「자칭 詩」감상 / 김기택
자칭 詩
최승자(1952~ )
그러면 다시 말해볼까.
삶에 관하여, 삶의 풍경에 관하여,
주리를 틀 시대에 관하여.
아니 아니, 잘못하면 자칭 시가 쏟아질 것 같아
나는 모든 틈을 잠그고
나 자신을 잠근다.
(시여 모가지여,
가늘고도 모진 시의 모가지여)
그러나 비틀어도 잠가도, 새어나온다.
썩은 물처럼,
송장이 썩어나오는 물처럼.
내 삶의 썩은 즙,
한잔 드시겠습니까?
(극소량의 시를 토해내고 싶어하는
귀신이 내 속에서 살고 있다.)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‘자칭 시’란 남이 시라고 보건 말건 쓴 사람이 스스로 시라고 주장하는 시를 일컫는다. 평균적인 수준에 한참 못 미쳐도 자기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이 눈을 가리면 자칭 시가 나오게 된다. 세상의 탁한 기운이 몸 안으로 들어와 분탕질을 하면서 뒤섞인 후 끔찍한 화합물이 되어 입 밖으로 터져 나오려고 할 때, 삶의 쓰고 괴로운 성분들이 몸을 한껏 괴롭히고 나서 몸 밖으로 흘러나오려고 할 때, 시인은 그것이 세심한 취급주의가 필요한 치명적인 독극물이 될 것임을 예감한다. 그리고 시의 이름으로 나오려는 이 정화되지 않은 말에 ‘자칭 시’라는 모멸적인 이름을 부여한다.
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고? 새벽 공기를 양심적인 목소리로 울리는 닭 모가지야 권력의 손아귀가 비틀겠지만, 현실 앞에서 무력하면서도 독성은 강한 시의 모가지는 시인이 스스로 비틀어야 한다. 시인은 위험한 언어가 나오는 제 몸을 비틀고 막고 저주함으로써 현실의 모순과 삶의 고통에 무감각한 독자를 불편하게 한다. 세상이 시라고 인정하든 말든, 이 지독한 말에는 기성의 시적 관습에 안주하는 시들을 반성하게 하는 역동적인 에너지가 있다. 시에 길들여지지 않는 야성과 광기의 힘이 있다. 써도 그만 안 써도 그만, 읽어도 그만 안 읽어도 그만인 ‘자칭 시’가 넘치는 시대에 80년대의 거울로 오늘의 시, 나의 시를 다시 들여다본다.
김기택 (시인)
'밤의 네 번째 서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행맨/신해욱 (0) | 2016.04.20 |
---|---|
생존자/김이듬 (1) | 2016.04.20 |
[스크랩] 킹 퀸 그리고 잭 (외 1편) / 남진우 (0) | 2016.03.21 |
비밀의 속도/안차애 (0) | 2016.03.18 |
[스크랩] 돼지는 말한다(외 3편) / 김혜순 (0) | 2016.03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