칼집
박해람
전전긍긍하는
틈,
저 좁은 날도 집이 있다.
고독하다는 것
자신의 몸에서 나는 피 냄새를 주식主食으로 견디는 것이다.
우리는 무뎌진 칼날로 뼈를 삼고 있나
그 칼날로 혈연을 베고 단호斷乎한 이름이 되려는 것처럼
칼 한 자루씩 들어있는,
사월의 목련나무들은 칼춤을 춘다.
예리한 날도 가끔은
딱 맞는 집에 들어 보호받을 때가 있는 것이다.
초록을 베지 못한 칼은
훗날 휘청거리고
좁은 날을 따라 간혹 꽃이 핀다고 한다.
허공의 원한을 한바탕 섞은 후
칼이 귀가한다.
파릇한 물기슭이 제 집을 찾아들어가듯
노을이 저녁 속으로
편안해 지듯.
몸은 온갖 원한의 집인가
쓸쓸하게 쓰린 내상內傷을 다스리며
칼집과 목련나무들의 동병상련이
절그럭, 절그럭거린다.
『문학청춘』2016년 겨울호
'밤의 네 번째 서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성대/무산 (0) | 2016.12.19 |
---|---|
[스크랩] 싯다르타/ 정숙자 (0) | 2016.12.19 |
스벵갈리의 거울/강인한 (0) | 2016.12.06 |
[스크랩] 공중뿌리/ 김이듬 (0) | 2016.12.04 |
전국의 날씨/최호일 (0) | 2016.1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