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기가 끝나면 주황물고기

밤의 네 번째 서랍

돌 속의 바다/김은상

Beyond 정채원 2022. 11. 8. 10:24
돌 속의 바다


김은상




나는 누구의 무덤이 되겠습니까.
저녁의 귀밑머리 아래서 파도가 흘러옵니다.
너무나 화창한 밤이어서
죽기 좋은 하이델베르크의 물결입니다.
밤의 눈썹 끝에서 포말로 부서지는
별빛들이 돌의 적막 속에서 출렁입니다.
한 줌의 희망과 한 모금의 기쁨도 없이
마른 생을 살아간다는 건
소리칠 수 없는 비명을 삼키는 일입니다.
날개를 파산한 새들에게 하늘은 관념입니다.
그리하여 나의 연명은 이명입니다.
그리움도 연민도 다 써버린 지 오래인데
비겁하게도 나는 눈사람을 만듭니다.
내 삶의 가장 큰 실패는 시에서 왔지만
시인이 되지 않았더라도
성공적인 인생은 없었을 것입니다.
가여운 하이델베르크의 성벽이
나의 가없는 어머니이기 때문입니다.
병든 아버지가 죽고 알게 됐습니다.
내 뜨거웠던 사랑의 원천은 증오였고
생의 절박함은 오해에 자라났습니다.
심해 같은 하이델베르크를 유영합니다.
해녀의 발목을 매만지는 푸른 열과
바다를 음각하는 수평선이 흘러옵니다.
파도의 끝자락에 서 있는 갈매기가
부러진 발톱을 꼼지락거립니다.
추억은 죽음을 향해 놓인 선로입니다.
창공이 돌 속에서 눈동자를 깜박이는
깊은 물결 속에서 주마등을 켭니다.
나는 가로목 한 칸,
그 한 칸들의 우울 속으로 돛단배가 지나갑니다.
부표처럼 한 생을 떠도는
돌 속의 바다,
태어나기 전에 이미 죽은 사람이 있습니다.



월간 《현대시》 2022년 10월호
 
 

김은상 / 1975년 전남 담양 출생. 2009 실천문학 신인상으로 등단. 2013년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시집 유다복음장편소설 빨강모자를 쓴 아이들중편 나의 아름다운 고양이 델마가 있다.
 
 
 

'밤의 네 번째 서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허공에서 새의 깃털 하나가 떨어지는 순간,/최형심  (0) 2022.11.12
청사과/조정인  (0) 2022.11.08
새벽의 질문/강인한  (0) 2022.11.03
밤의 산책자/김연아  (0) 2022.11.02
보말죽/전동균  (0) 2022.10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