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기가 끝나면 주황물고기

밤의 네 번째 서랍

공우림空友林의 노래˙19/정숙자

Beyond 정채원 2023. 3. 13. 00:12

 

공우림(空友林)의 노래·19 
    

              
   고독도 풍금(風琴)이랍니다. 어떤 고뇌도 맑아질 수 있도록 많은 건반을 갖고 있지요. 어느 날의 풍랑이 깨운 비애는 하늘까지 적신답니다. 딩 동 댕 동 저는 오늘도 풍금 앞에 앉아서 오로지 마음을 깎는답니다.(1990. 7. 25.)

    -_-

   “우리는 한 점 티끌 위에 살고 있고 그 티끌은 그저 그렇고 그런 별의 주변을 돌며 또 그 별은 보잘것없는 어느 은하의 외진 귀퉁이에 틀어박혀 있음을 알게 됐다.”(칼 세이건, 홍승수 옮김,『코스모스』, 2004, 사이언스북스, 46쪽)

   기억 속의 저- 한 구절을 찾기 위해 몇 시간을 소비했다면, 과거로의 여행을 한 셈이겠지요. 독서 노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, 하 세월 의식의 흐름 속에서 이미지가 변신해버린 까닭에 그 과정까지를 더듬더듬 짚어가야 했기 때문입니다.

   고독과 싸워온 삶이라 해도 일생 함께한 책들이 있어 제 지구는 외롭지 않았습니다.



   웹진 《공정한 시인의 사회》 2022년 7월호

 

'밤의 네 번째 서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서울남부구치소/정혜영  (0) 2023.04.01
그 집/박수현  (0) 2023.03.14
구름/서정춘  (0) 2023.03.10
겨울의 내부/박재우  (0) 2023.02.12
별들의 속삭임/황유원  (0) 2023.02.08